1. 영양판정이란?
영양판정은 영양관련 문제와 원인 파악을 위해 자료를 수집, 분석하는 과정이다. 영양판정의 단계는 영양상태 선별검사(영양검색), 초기 영양판정이 있다. 영양검색은 환자가 입원하며 24~48시간 내 영양 위험요인을 기준으로 환자의 영양적 문제와 그와 관련된 특성을 찾아내어 영양불량 상태이거나 영양적 위험이 있는 환자를 선별하는 절차이다. 영양검색의 필수 요건은 자료 수집이 쉽고 경제적이고, 간단하고 신속하고, 정확히 선별 가능해야 하며, 모든 대상자에게 일률적으로 사용 가능할 수 있어야 한다. 영양검색의 지표는 객관적 지표와 주관적 지표가 있이다. 객관적 지표는 표준체중 백분율, 체중 감소율, 체질량지수, 생화학적 검사(알부민, 헤모글로빈 등), 식사 형태 등이며, 주관적 지표는 연하곤란, 저작곤란, 오심, 구토, 설사, 체중감소, 내장단백질, 섭취량감소, 질별의 중증도 등의 지표를 활용한다. 영양검색 도구로는 MNA(mini nutrition assessement), MUST(malnutrition universal screening), NRS(nutrition risk screening)등이 있다. 영양판정의 영역은 식사력조사, 신체계측, 생화학적 검사/ 의학적 검사와 처치로 나눌 수 있다.
2. 식사력조사
1) 24시간 회상법
24시간 회상법은 전날 24시간 동안의 섭취량을 면단을 통해 조사하는 방법이다. 빠르고 간편하며 비용이 적게 든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기억에 의존해야 하기 떄문에 정보가 분명하지 않을 수 있고, 평소 식사패턴에 대해서는 알 수 없으며, 면담자의 숙련된 기술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2) 식사기록법
식사기록법은 하루 섭취한 음식물을 기록하여 조사하는 방법으로 1일, 3일, 7일 등을 기록한다. 24시간 회상법 보다는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있고, 식품의 종류, 식사장소, 시간 등을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평소 식사패턴은 알 수 없으며, 기록자의 지식(식품종류, 분량 등)과 의지가 요구된다.
3) 식품빈도법
식품빈도법은 식품군별로 섭취하는 식품의 빈도수를 기록하여 조사하는 방법이다. 최근의 식사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고, 섭취량에 대한 정확하고 세부적인 정보를 알 수 없으며, 섭취한 음식을 모두 대변해 주지는 못하는 단점이 있다.
4) 열량계산법
정확한 열량과 단백질의 섭취량을 알고자 할 때 의사 처방에 의해 이루어지는 조사 방법이다. 2-3일간 섭취한 음식을 기록지에 기록하여 열량과 단백질 섭취량을 분석하여 필요량과 비교하여 회신한다.
3. 신체계측
1) 신장과 체중
신장 측정 방법은 서서 키 재기, 누운 키재기, 팔 간격, 무릎 높이 등을 이용해 신장을 측정 할 수 있다. 체중은 지방량과 제지방량을 합한 총량이며, 가장 흔히 이용되는 지표로 체내의 수분균형 (복수, 탈수, 부종)을 나타낸다.
2) 표준체중 백분율(%IBW)
표준체중 백분율은 과체중과 비만을 평가할 때 이용된다. 표준체중백분율 = 현재체중/ 표준체중 x 100 으로 계산할 수 있다. 표준체중을 구하는 공식은 Broca 변형법을 이용한다. 키가 150cm 이하의 경우 키에서 100을 뺀 값이 표준체중이다. 150~160cm 인 경우 키에서 150을 뺀 값에 0.5를 곱하고 50을 더한 값이 표준체중이다. 160cm 이상의 경우 키에서 100을 빼고 0.9를 곱한 값이 표준체중이다. 상대체중의 비율에 따른 분류를 아래의 표와 같다.
분류 | 상대체중 |
저체중 | < 90% |
정상 | 90 ~ 110% |
과체중 | 110 ~ 120% |
경도비만 | 120 ~ 140% |
중등도비만 | 140 ~ 200% |
고도비만 | > 200% |
3) 평소 체중과 체중 감소
평소체중은 질병과 관계가 매우 밀접하다. 임상적으로 표준체중보다 더 유용하며, 평소체중 백분율=현재체중/ 평소체중 x100 으로 구할 수 있다. 85~90%의 경우 경미한 체중감소, 75~84%의 경우 중정도 체중 감소, 75% 이상의 경우 심한 체중 감소로 평가된다.
4) 체질량 지수(BMI, Body mass index)
비만도 평가 지표로, 건강상의 위험도 사망률의 관계 등을 평가하는데 이용된다. 하지만 체지방과 근육을 구변할 수 는 없다. 체질량 지수는 체중(kg) / 신장(m²)으로 구할 수 있다. 체질량 지수를 이용한 비만의 분류는 18.5 이하의 경우 저체중, 18.5-24.9의 경우 정상, 25 이상일 경우 과체중, 25-29.9의 경우 비만 전단계, 30-34.9의 경우 비만 1단계, 35-39.9의 경우 비만 2단계, 40 이상의 경우 비만 3단계로 합병증 위험도가 매우 심한 단계이다.
5) 체지방, 체단백 분포
체지방 분포 평가 중 복부비만의 평가 기준은 허리-둔부 비례, 허리둘레이다. 허리 둘레는 남자 는 90cm이상, 여자는 80cm이상일 경우 복부비만으로 분류된다. 체단백 분포 평가 중 삼두근 피부주름두께(TSF)은 캘리퍼를 이용하여 측정하며, 5퍼센타일 이하는 결핍, 95 퍼센타일 이상이면 비만이다. 상완위 근육둘레(MAMC)는 체단백 측정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