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영양관리의 목표
영양관리의 목표는 개인의 건강 상태 개선과 더불어 영양상태를 평가 파악하기 위함이다. 영양평가란 영양과 관련된 자료를 수집하여 정보를 해석하고 상태를 평가하는 것을 말한다. 영양평가의 목적은 영양불량을 규명하고 영양 관리를 시행하여 영양불량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며, 영양불량으로 인한 이환률과 사망률을 줄이기 위함이다.
2. 영양관리 과정
1) 영양판정
영양판정은 영양관련 문제와 원인을 결정하기위해 자료수집, 확인, 해석하는 과정이다. 개인의 건강과 영양상태를 결정하는데 필요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영양판정의 영역으로는 식품/영양소와 관련된 식사력 영역(FH), 신체계측 영역, 생화하적 자료, 의학적 검사와 처치 영역, 영양관련 신체검사 자료 영역, 환자 과거력 영역 등이 있다.
2) 영양진단
영양진단은 영양 문제를 규명하고, 명시하는 것으로 영양진단문(PES문)을 작성한다. 영양과 관련된 현상을 문제로 기술하고 영양적인 중재를 한다. 영양진단의 영역으로는 섭취영역, 임상영역, 행동-환경 영역이 있다. 영양진단문(PES)은 문제(P), 병인(E), 징후/증상(S)로 문제는 영양상태 변화를 표현하여 작성하는 것으로 과다, 적절, 부족, 부저절의 문구를 사용하여 작성한다. 병인은 원인이 되는 요인이나 문제점을 작성한다. 징후/증상은 영양판저으이 주관적, 객관적 자료에서 파악한 특징을 작성한다. 영양진단문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에너지 섭취 부족(P)은 입맛과 식욕 변화(E)와 연관이 있고 근거는 평균 하루 섭취 칼로리가 권장량의 50% 미만이라는 것이다(s)
3) 영양중재
영양진단을 통해 규명된 문제를 중재하기 위해 계획을 수립하고 실행하는 단계이다. 영양진단의 우선순위를 결정하여 목표를 설정한다. 예를 들어 고지혈증 환자의 경우 포화지방섭취를 줄이는 것이 가장 우선적이 목표로 설정할 수 있다. 영양중재의 경우 환자와 다른 전문가와 상호 의사소통이 필요한 단계이다. 영양중재의 영역은 식품/영양소 제공 영역, 영양교육 영역, 영양상담 영역, 영양관리를 위한 다분야 협의 영역이 있다.
4) 영양모니터링 및 평가
영양모니터링 및 평가 단계에서는 영양관리의 진전 정도를 평가한다. 영양관리 과정 중 부족한 점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 를 수집하고, 추가적인 정보를 통해 영양진단 과정 및 목표를 변경 할 수 있다.